우리가 기쁜 일이 있을 때 내는 축의금과 슬플 일이 있을 때 내는 조의금을 합쳐서 부조금이라고 하죠. 코로나 집한 제한이 끝나면서 결혼식이나 돌잔치 등 오프라인 행사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부조금은 얼마로 하는 것이 적당한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인 부조금 액수

통상적으로 주위 지인들이나 각종 카페, 커뮤니티 등에서 부조금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국룰은 5만 원입니다.
 
부조금은 홀수로 하는 것이 우리나라 사회 통념상 맞습니다. 이는 과거 홀수를 선호한 유교 전통에서 기인한 것인데, 이미 현대사회에서도 굳어져서 특별한 사정이 아니면 지키는 것이 매너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사회나 축가, 주례를 봐주신 분들께는 축의금을 받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축가, 사회, 주례 보신 분들이 축의금을 냈다면 거절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냥 감사히 받으시고 더 답례를 잘 해드리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그 외 부조금 액수

최근 물가가 많이 올랐음에도 10만 원은 여전히 부담스럽습니다.
다만 제 주위에서 3만 원을 하는 경우는 거의 사라진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물가 상승률이 많이 반영되었기 때문인 듯합니다. 그럼에도 개인 사정에 따라 3만 원을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일부 회사들은 규모가 커서 직원 사이에 안면이 거의 없는 경우도 많은데 아예 모르는 사이는 아닌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매우 얇은 인간관계에서는 3만원을 하는 것 같습니다.
 
9만 원은 10만원과 큰 차이가 없고 9는 아홉수라는 의미로 기피합니다.
 
10만원 이상은 짝수인 20만원도 가능하지만 40만원은 4라는 숫자가 좋지 않게 여겨지므로 제외합니다. 그리고 60, 70, 80, 90보다 50, 100, 150.... 등 50만 원 단위로 올라갑니다. 
 
개인의 소득, 상대방에게 주고 싶은 마음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정해진 룰은 없습니다. 인생 가장 절친이지만 5만 원을 해도 서운해할 일이 아니라는 이야기죠. 반대로 소득수준이 높은 그룹이라면 10만 원도 적을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직접 찾아와 축하나 위로를 건네준 사람이라면 더욱 액수보다 더 높이 평가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유대교의 교리에서도 돈을 기부하는 것보다 직접 찾아서 시간을 내는 것이 더 귀하다고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은 5만 원에서 끝나고 친분이 있더라도 10만 원을 하면 어지간해서 서운해 하지 않는 수준입니다. 다만 뒷 말이 많은 집단에 속해있다면 그 집단 구성원들이 내는 부조금액을 미리 조사해서 서로 어느 정도 수준을 맞추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현실적인 부조금 금액

어떤 분이 기타 부조금 금액에 대해 정리한 내용이 있는데 상당히 현실적이라서 본 글을 작성하는데 많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부조금의 적절한 액수, 부조금의 상식과 규칙

부조금 액수에 대한 상식과 규칙, 다양한 액수 선택지,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변 의견과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부조금 액수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

3koli.blogspot.com

 

 

Total
Today
Yesterday